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데이터 통신과 네트워킹 5판 #data communication and networking 5th #컴퓨터 네트워크
- 데이터통신과 네트워킹 5판 #컴퓨터 네트워크 #Data communication and Networking 5th
- 데이터통신과 네트워킹 5판 #Data communication and Networking 5th #컴퓨터 네트워크 #chapter 2
- 데이터 통신과 네트워킹 5판 한글 #데이터 통신과 네트워킹 5판 정리 #컴퓨터 네트워크 #Data communication and Networking 5th
- Frontend #Developer #Junior_developer #html5 #CSS3 #Javascript
- 데이터 통신과 네트워킹 5판 한글 #컴퓨터 네트워크 #data communication and networking 5th
- 데이터 통신과 네트워킹 5판#컴퓨터 네트워크#Data communication and networking 5th
- Django #Python #Javascript #Html #CSS #프론트엔드 #백엔드 #개발자 #Developer
- 데이터 통신과 네트워킹 5판#컴퓨터 네트워크#컴퓨터공학과#통신공학
- 프론트엔드 #로드맵 #2018 #2019 #하나씩 #차근차근
- Today
- Total
모든 개발자들의 구글
오늘부터 Django를 다시 공부하기로 했다. 저번 겨울 방학 내내 Django와 Python을 사용하여 백엔드 개발을 처음을 공부했고, 저번 학기 동안 동아리 멘토로 동아리 수업을 진행 하였는데 기말고사 기간동안 학기 공부를 하고 나니 정말 한 개도 기억이 나지 않는다. 이제 동아리와 스터디에서 진행하는 프로젝트들 때문에 슬슬 백엔드 개발 준비도 해야하는데, 문득 생각해보니 이번 프로젝트 끝나고 잠시 휴식을 가지면 또 까먹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가장 중요한 것은 내가 아무리 쉬어도 까먹지 않을 정도로 나의 개발 실력을 키우는 거겠지만! 오늘부터 다시 시작하는 Django를 이용한 백엔드 개발 공부를 여기에 기록으로 남겨볼까 한다. 나역시 다시 한 번 정리하면서 개념을 다시 잡고, 나와 비슷..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k3jCL/btqvK5qQobz/fonxk36IkLunukkBXRsTxK/img.png)
5.1 디지털 대 아날로그 변환 Digital data -> Analog signal - 디지털 데이터의 정보를 기반으로 아날로그 신호의 특성 중 하나를 바꾸는 과정 - analog signal은 sinewave(크기, 위상, 주파수)로 보낸다. Digital to Analog conversion 유형 1. ASK(Amplitude Shift Keying) 2. FSK(frequency shift keying) 3. PSK(phase shift keying) 4.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 ASK + PSK = QAM 5.1.1 digital to analog conversion의 여러 측면 - bit rate: 1초에 전송되는 bit의 수 - baud rate..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1lpKI/btqvCJuxaFW/glY2KoHKrLkybPR0BK6Y01/img.png)
데이터 링크층 - 상위 부계층(DLC) - 하위 부계층(MAC) 11.1 DLC 서비스 DLC(데이터 링크 제어) 1) 프레임 짜기(크기 고정, 가변) 2) 흐름 및 오류 제어(혼잡제어는 data-link layer에서 사용X) 11.1.1 프레임 짜기 - bit 들을 frame 안에 넣어 주소를 가진 frame으로 서로 구분 - Frame 짜기 1) 고정크기 Frame 고정 길이 or 가변 길이 2) 가변크기 Frame Frame의 끝과 next frame의 시작하는 곳(flag 사용) a. 문자 중심 protocol(Character-Oriented Framing) → 전달되는 data는 8비트 문자 → 시작, 마지막에 flag 추가 b. 비트 중심 protocol(Bit-Oriented Framin..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YQreo/btqvC63Dfmz/JG88H89iKQmWIyocDPIcv0/img.png)
9.1 데이터링크층 소개 인터넷 - router나 switch 같은 장치들을 연결하는 네트워크의 집합 - packet이 host to host로 전달되려면 경로가 필요 9.1.1 node와 link - 데이터링크 layer에서 통신은 node-to-node - 인터넷에서 data unit은 목적지에 도달하기위해 LAN, WAN같은 많은 network들을 통해 전달 - LAN, WAN은 router들을 통해 연결 - node끼리 연결을 책임지는 게 data-link layer의 목적 9.1.2 서비스 - data-link layer은 physical layer와 network layer 사이에 위치 - data-link layer은 physical, network layer로부터 전달받은 service를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oul8P/btqvA91wkYr/WN9r0ZEoIWB0bLrnrQbwS1/img.png)
4.1 디지털 대 디지털 변환 디지털 signal을 이용하여 어떻게 digital data를 표현하는가? a. line coding b. block coding c. scrambling 4.1.1 회선 부호화(line coding) - digital data(일련의 비트) → digital signal - 데이터 요소와 신호 요소 데이터 요소(data element) : data를 나타내는 가장 작은 단위체 : bit(우리가 전달해야 하는 것) 신호 요소(signal element) : digital signal의 가장 짧은 단위(전달자) - r: 매 신호요소 당 전송되는 데이터 요소의 개수 - 데이터 전송률 대 신호 전송률 ㄱ. data rate : 1초 당 전송된 데이터 요소의 개수 : 단위(bps)..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EgLEE/btqvCfMJRMU/iupM48NteC7Tk94vtrvjD1/img.png)
7.1 개요 전송 매체 - 물리층 아래에 위치 - 물리층에 의해 직접 제어 - 발신지로부터 목적기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모든 것 - 종류 a. 자유 공간 b. 금속 케이블 c. 광섬유 - 원격통신의 목적을 위해 전송매체 ① 유도 매체: 꼬임쌍선, 동축 케이블 및 광섬유 포함 ② 비유도 매체: 보통 공기 7.2 유도 매체 유도 매체(guided media) - 한 장치에서 다른 장치로 가는 통로를 제공 ㄱ. twisted-pair cable(꼬임쌍선) ㄴ. coaxial cable(동축 케이블) ㄷ. 광섬유 케이블 – 빛의 형태로 signal 받음 – 유리 or plastic cable 사용 7.2.1 꼬임쌍선 케이블 twisted-pair cable - signal 이외에 간선과 혼선이 있을 수 있음..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NwuGw/btqvA9Nb7ai/IWrx3zQQIKi0L21hPRge70/img.png)
3.1 데이터와 신호 물리층 통신은 신호의 교환을 의미 데이터 → 전송되고 수신됨 전송매체 → 데이터를 신호로 바꿈 → 신호의 종류 ① 아날로그 ② 디지털 3.1.1 아날로그와 디지털 데이터 데이터 ① Analog – 연속적 정보 – ex) 목소리 ② Digital – 이산적 정보 – ex) 0과 1의 형태로 컴퓨터의 기억장치에 저장되는 데이터 3.1.2 아날로그와 디지털 신호 아날로그(주기), 디지털(비주기) →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있어서 3.2 주기 아날로그 신호 아날로그 신호 ① 단순 신호(정현파) ② 복합 신호(여러 개의 정현파로 나뉨) 3.2.1 정현파 - 최대 진폭(Peak amplitude) → 전송하는 신호의 에너지에 비례하는 가장 큰 세기의 절댓값 → 흔히 전압으로 측정(V) - 주기(s..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xHJhi/btqvAB4ly7w/QdhXTihFG7lEBUG2oDUPJK/img.png)
2가지 model(TCP/IP Protocol, OSI Model) -> 컴퓨터 네트워크 운영을 규정하기위해 개발 2.1 Protocol Layering(계층화) → 2가지 원칙 프로토콜 - sender와 receiver 그리고 모든 중간 장치들이 통신하기위해 따라야하는 규칙 2.1.1 시나리오 1) 첫 번째 시나리오 - 한 계층에서 일어나는 통신 2) 두 번째 시나리오 - 세 개의 계층에서 일어나는 통신 - 세 개의 계층으로 나누어져 있어서 암호화/부호화에 문제 발생 시 두 번째 계층의 기계만 바꾸면 된다 -> 모듈성(독립된 계층들을 의미) 2.1.2 프로토콜 계층화의 원칙(2가지) 1. 양방향 통신을 원할 경우 각 방향에서 레이어들은 두 가지 반대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2. 양 쪽의 동일한 leve..